전체 글115 구글 코랩(Colab)에서 dotenv 사용 방법 코랩에서 테스트를 할 때 API_KEY를 항상 사용해야 하는 매번 Colab 파일을 생성할 때마다 API_KEY를 직접 넣는 것은 불편합니다. ㅠ 파이썬에서는 dotenv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API_KEY를 정의하지만 코랩에서는 그게 쉽지 않았는데요. 제가 사용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dotenv에서 사용할 .env 파일 저장하기먼저 dotenv에서 사용할 .env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의 어딘가에 저장합니다. 저장은 PC에서 .env 파일을 생성하여 그 안에 API_KEY 값들을 정의한 후에 업로드하는 것이 편합니다. 파일을 업로드하고 dotenv을 사용할 Colab 파일을 생성합니다. Colab 파일에서 .env 파일 수정 및 사용하기먼저 Colab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볼 수 있게 설정합니다. f.. 2024. 8. 16. Tensorflow로 성능 측정하기 - Windows, Colab 성능 비교 이전 블로그에서 Tensorflow를 사용하여 Windows PC의 GPU를 사용하도록 설정했습니다. https://android-developer.tistory.com/94 Tensorflow에서 GPU 확인 안될 때 - is_built_with_cuda false구글 코랩에서 무료로 제공 중인 GPU와 제 컴퓨터의 GPU를 비교하고싶어서 집에 있는 노트북으로 Tensorflow로 테스트를 하려고 했는데. 안되네요...? 그래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 끝에 찾아낸android-developer.tistory.com 이제 TensorFlow가 GPU를 사용하니 CPU를 사용했을 때와 GPU를 사용했을 때 성능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제 노트북의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2024. 6. 23. Tensorflow에서 GPU 확인 안될 때 - is_built_with_cuda false 구글 코랩에서 무료로 제공 중인 GPU와 제 컴퓨터의 GPU를 비교하고싶어서 집에 있는 노트북으로 Tensorflow로 테스트를 하려고 했는데. 안되네요...? 그래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 끝에 찾아낸 결과를 공유합니다.윈도우에서는 특정 버전을 반드시 설치해야만 GPU를 인식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냥 최신 버전을 막 설치하면 인식하지 못합니다... 꼭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주세요.NVIDIA GPU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다음 커맨드를 명령 프롬프트에 넣어서 드라이버가 잘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nvidia-smi 문제없으면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Cuda Toolkit 설치하기이 부분이 조금 힘듭니다. 먼저 본인이 사용 중인 GPU의 모델 확인이 필요합니다. 위 사진처럼 장치관리자에 들어가서 본인.. 2024. 6. 22. Flutter 에러 발생 No connected devices found 해결 방법 어제까지만 해도 잘 되던 Flutter가 갑자기 동작을 하지 않았습니다... 에러 내용을 보아하니 다음과 같이 뜨는데 No connected devices found; please connect a device, or see flutter.dev/setup for getting started instructions. site:stackoverflow.com 분명히 Emulator는 잘 설치되어 있고... Flutter가 아닌 Kotlin으로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는 잘 동작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을 시도 해봤습니다.Flutter doctor 커맨드맥북 기준 flutter doctor 커맨드를 사용하면 현재 flutter를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있는지를 확인할 수 .. 2024. 6. 7. 이전 1 ··· 3 4 5 6 7 8 9 ··· 29 다음